본문 바로가기
學/심리학

인간관계의 중요성

by 더하기는싫어요 2022. 7. 30.
반응형

1) 인간관계는 인간을 인간답게 한다.

우리를 보다 인간답게 하는 것은 바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인간관계다. 이간으로 태어났으나 인간과의 상호작용이 전혀 없었던 인도의 늑대 어린이 카밀라의 이야기는 이를 극적으로 잘 대변하고 있다.이러한 사례는 인간관계라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인간이 인간다워진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우리는 인간관계 속에서 서로 인간을 대하고, 관심을 갖고, 서로의 욕구에 반응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즉, 사회화가 되는 것이다. 인간다움을 나타내는 특성들 가운데는 친절, 자비, 배려, 관심, 연민, 협동, 사랑, 돌봄, 공감,  동정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인간다움의 특성들은 인간관계 속에서 바람직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길러진다. 즉, 우리 각자가 다른 사람을 대하고 관계 맺는 방식과 그 관계의 질이 우리가 어떤 종류의 사람이 되는가를 결정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2) 인간관계는 인간을 가치 있는 존재로 만든다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 발전시키는 데 필요충분조건은 자기도 수용하고 타인도 수용하는 자세다. 이는 Eric Berne와 Thomas Harris가 제시하고 있는 'I'm OK-You're OK(I+U+)'의 생활 자세다. 교류분석 학자인 Thomas Harris(1969)는 인간 존재의 가치 형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자신과 다른 사람을 중요하고 가치 있는 존재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완전하고 흠이 없어서가 아니다. 다른 사람의 눈에나 자신의 관점에서 장점으로 보이는 부분도 있고 단점으로 보이는 부분도 있을 수 있으며, 잘할 때도 있고 실패할 때도 있다. 마음에 드는 부분도 있고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양면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서로를 소중하고 가치 있는 존재로 여길 때 서로를 수용할 수 있으며, 서로를 수용할 수 있게 될 때 너와 내가 함께 가치 있는 인간다운 존재가 될 수 있다. 



3) 인간관계 속에서 개인의 정체성이 발달한다

자아정체감(ego identitiy)이란 현재 자신의 위치, 능력, 역할 및 책임에 대한 분명한 인식으로서 자기 정의(self definition)라고 할 수 있다. 자아정체감이 결정적으로 형성되는 것은 사춘기부터 청년기까지이지만 여기에는 인생 초기부터 수많은 인간관계의 경험들을 통해서 축적되어 온 자신감을 포함하고 있다. 청소년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 관해서 가지는 이미지에 대해서 이전보다 훨씬 더 민감하게 적극적인 관심을 갖게 된다.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보이는가?' '나는 누구인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자신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 이러한 청소년기의 건강한 정체성의 발달은 성인기의 성공적인 결혼생활과 직장생활의 적응, 그리고 노년기의 정신건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4) 인간관계는 성공적인 직장생활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탁월한 기술과 재능이 생산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동료들과 함께 효과적으로 일할 수 없으면 그 직장에서 살아남을 수가 없다. 면접관들이 신입사원 지원자들을 면접할 때 마음에 두는 중요한 기준의 하나는 다른 사람들과 함꼐 잘 어울려서 일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이다. 실제로 직장인들은 회사 내에서 인간관계의 불화 때문에 회사를 가장 그만두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지사, 김종운박성실 공저 인간관계 심리학 19~20p

반응형

'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과 심리치료  (0) 2022.07.31
스트레스란?  (0) 2022.07.31
파블로프의 조건반사  (0) 2022.07.31
주변에 한명씩은 있다는 콤플렉스&증후군 모음  (0) 2022.07.30
인간 관계의 기초  (0) 2022.07.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