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심리학13 인간관계가 가식적으로 느껴질 때 이것부터 시작해 보세요 현재 읽고 있는 책은 데일 카네기의 인간관계론이다. 이 책을 읽게 된 계기는 사람을 정말 잘 대해주시는, 다른 사람을 대할 때마다 카멜레온처럼 바뀌는 대표님이 있다. 질문했다. "대표님 인간관계를 어떻게 그렇게 잘 유지하나요?" 대표님은 대학교 때 이 책을 읽으면서 사람을 대하는 방법을 배웠다고 했다. 그 얘기를 듣자마자 구매하였지만 책꽂이에 1년 정도 푹 익히고 있었던 어느 날 회사 사람들이 많이 바뀌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게 되었는데 문득 내가 하는 모든 말들이 가식적으로 느껴졌으며 언행과 품행 또한 마음에 들지 않았다. 인간관계에 진정성이 없달까... 같이 지내는 회사 동료들에게 좋은 사람이 되고 싶고,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차올라 오랜만에 출근길에 책을 들었다. 출근길 책을 읽는데 오랜만에 글을.. 2022. 8. 4. 공자는 말했다.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을..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모르면서 공부를 잘하면 좋은 대학에 간다는 말, 옆집 oo 언니는 서울대 갔다더라, 좋은 직장을 다니려면 좋은 대학을 나와야 한다, 오랜만에 모인 명절 추석에는 어느 대학 정했는지 이런 이야기들이 둥둥 떠다니는 나의 10대 시절은 공부를 잘하는 사람을 대단하다고 생각만 했지 저렇게 되고 싶지는 않다. 정확히 말하자면 되고 싶지도 않은 게 아니라 요령도 없고 어떻게 하면 성적 올리는지는 관심도 없는 공부엔 욕심이 전혀 없는 한낱 소녀일 뿐이었다. 중고등학교 때 내 삶 속에서 쌓아 올린 것 중 또래보다 인정받는 것에 대한 쾌감을 느꼈던 순간은 미술학원 입시시절이었다. 미대에 가고 싶었던 생각은 없었지만 초,중학교때부터 꾸준히 미술을 하다 보니 예고를 준비하는 친구들보다 월등하게 잘하고.. 2022. 8. 1. 나의 가치관 형성에 따른 직업 선택 직업을 선택하기 전 우리는 먼저 생각해봐야 하는 것들이 있다. 먼저 개인이 직업을 선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 번째 직업은 생계를 유지해준다.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의식주를 해결해주며 업무를 수행하는 대가로 수입을 얻게 되고 이 수입은 가족과 나의 생계를 유지해주며 경제 활동을 영위할 수 있게 해준다. 두 번째로는 직업은 소속감을 갖게 해준다. 소속감은 심리적 안정을 주는 반면에 개인이 직장생활을 그만두게 되면 심한 소외감을 느끼고 심리적 불안정감을 느끼게 된다. 세 번째로 직업은 개인의 가치를 실현해준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명예, 부, 권력, 인정 등 나름대로 가치를 추구하며 살아가게 된다. 직업은 위와 같은 가치를 실현해주는 수단이 되므로 자신의 인생을 판가름할 때 직장생활.. 2022. 7. 31. 상담과 심리치료 1. 상담과 심리치료의 정의와 유형 심리상담과 심리치료를 명확하게 구별하기는 힘들지만 심리학뿐만 아니라 교육학, 사회복지학, 가족학 등 여러 관점에서 인간이 경험하는 다양한 발달적 문제를 돕고자 하는 시도가 일어나면서 상담학이라는 용어가 생기고, 상담과 심리치료를 구별해야 한다는 관점도 있다. 상담 분야에서는 진로상담이나 학습 상담과 같은 심리상담과 다른 영역이 있기는 하지만 심리상담은 심리치료와 같은 이론적 관점을 가지고 활동을 한다. 이 절에서는 심리상담과 심리치료의 정의와 특징을 살펴보고, 치료에서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지에 따른 치료의 유형과 어떤 요인이 치료 효과를 가져오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1) 상담과 심리치료의 정의 심리상담 혹은 심리치료는 심리적으로 고통을 경험하는 사람들이나 자기의 성장.. 2022. 7. 31. 이전 1 2 3 4 다음